본문 바로가기

칼럼

대학입시로 목표로 하는 과잉 교육

우리나라는 90년대 이후 대학진학률이 고공행진해 80%에 육박하게 되었고 일종의 좋은 대학을 나오면 성공한다는 대학만능주의가 만연했었다. 이는 80년대 후반~ 90년대 중반 세대에게는 거의 절대적인 믿음이었고 이 시기 세대가 성장함에 따라 유아 교육이, 초중등 학원이, 대입 학원과 재수학원이 대 성황이었으며 이는 자격증이나 스펙쌓기라는 또다른 사교육으로 변질되어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가장 사람이 많았던 년도생을 변곡으로 공무원 시험 학원까지 마치 세대가 나이를 먹는 것에 따라 지하철 스테이션을 넘어가듯이 사교육 시장도 변해갔다. 인구 감소기에 이르러 초중등 그리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은 영업난이나 원생 유치에 많은 애로사항이 생기고 이는 대학도 크게 다르지 않아서 대학조차 과 통페합과 심지어 순위가 낮은 대학을 정리하기 위한 대학 평가제도가 국가 주도 실시되고 우리나라는 인구 변화에 민감하게 움직이고 있다.

단순히 수요공급의 원리로 크게 문제될 것 없었던 이야기 같지만 중요한 건 가장 사람이 많은 세대에 대학만능주의가 팽배해 80%란 괴물 같은 대학진학률을 이뤄내고 실제로 대학 졸업자라고 말할 수 있는 수준에 달하는 건 그 절반의 절반도 되지않는 상황에 이르자 당연히 사회는 경직되고 청년실업은 사회 문제가 되었다. 대졸자가 대졸자 일자리를 원하지만 그 일자리에 걸맞지 않는 대졸자가 그런 일자리를 꿰찰 수 있을 리 없다. 또 대학에 진학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건 일종의 명문대를 말하는 거였지만 다 대학을 나옴으로써 대학을 가지 않으면 사람 취급 받지 못한다는 현실이 생겨버려 기현상을 부추기고 노동시장을 완전히 왜곡시켜버렸다. 누군가는 3D일자리를 해야된다고 말하는 게 아니다. 모든 분야가 대학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가 아닌데도 비정상적인 대학 진학률은 신세대에게 일자리 종류를 볼 수 있는 폭을 좁혔고 문턱을 높였으며 일자리 선택에 큰 딜레이를 만들어 가장 활발하게 일할 시기에 일하지 않거나 못하는 상황을 만들었다. 가뜩이나 남자는 20대에 2년이란 시간을 군대에 보내야 되는 대한민국의 특성 상 더욱더 시간 소모가 군대 앞뒤로 더 커지므로 경제에 악영향은 더욱 커진다.

더욱이 대학 진학률 80%를 받아낼 수 있는 사회는 어디에도 없다. 이전 글에서 말했던 이상적 모델이 나오는 건 피할 수 없는 교육 실패에 의해 가능하지 않다. 신세대가 상향 의식을 가지고 꿈을 크게 가지는 건 좋고 권장해야 될 일이지만 현실에서 일어난 일은 단순히 일하지 않고 교육받지 않고 있는 시간만 늘어났을 뿐이다.

우리나라는 청소년에게 공부만을 시키려 하는 것이 문제다. 물론 그것은 잘못된 일이 아니고 양질의 학생이 많이 나온다면 이상적이지만 초중고에서 어떤 교육을 시켜도 상위권 명문대에 들어가 대학 교육을 받을 수준의 학생을 창출하는 것은 10% 내외이다. (심지어 모두 똑같은 교육을 받아도) 게다가 과잉교육을 시키고 학생들의 고단한 삶을 몇십년째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 학생들의 수준은 교육 제도의 변화에 따라 점점 낮아지기만 했다. 과거보다 더 경쟁이 심해지고 수준이 높아졌지만 경제를 이유로 한탄하는 글은 인터넷에서 쉽게 볼 수 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학생의 즉 대졸자의 수준은 90년대 전후보다 지금이 훨씬 낮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우리나라가 교육에 이만큼 열을 올렸지만 타국보다 더 학생 수준이 높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물론 현재는 대학 만능주의는 많이 사라졌고 오히려 유튜버나 bj 같은 젊어서도 돈을 벌 수 있는 직업이 더 떠오르며 최상위권 대학을 제외하고는 그들보다 낮게 점쳐진다. 최상위권 대학생조차 9급 공무원 시험에 응시한다는 이야기가 티비에 나올 정도로 대학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다. 대학의 졸업장이 일자리를 당연하듯 보증하던 시대가 끝났으므로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교육 제도의 개선이랍시고 하는 혁신 학교들은 그저 좌익 교육을 하는 엉터리 장소가 되었다. 그런 곳을 만드는 교육감을 뽑은 당사자들이 혁신학교 전환을 반대하고 나섰으니 이미 말 다했다. 학생들을 생각하고 기존 교육제도를 타파하겠다고 매번 바뀌지만 나아지는 게 없다고 본다. 더 나아지고자 하는 변화가 학생들의 수준을 점점 더 낮추고 있다. 대학 입시는 그냥 정시 100%로 돌리는 게 오히려 개선을 만들었으면 만들었지 지금 제도들은 학생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더 많은 돈이 필요하게 만들 뿐이다.

공부란 스스로가 필요하다고 느끼면 하게 된다. 억지로 시켜서 어느 정도 결과를 내는 것도 가능한 일이지만 사회 전체적으로는 악영향을 끼칠 뿐이다. 물론 모든 개인이 사회의 이익을 위해 살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다. 내가 어떤 교육제도를 제안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기존 입안자들의 추상적인 말들과 크게 다르진 않을 것 같다. 

대학 만능주의나 대학 입시를 목표로 한 과잉 교육이 실시된 가장 큰 이유는 직업이 '세습'되지 않는 환경이다. 그래서 일정 수준 이상의 직업을 가질 수 있게 해주는 대학 졸업장에 그렇게 목매달게 되는 것이다. 직업 세습이라니 부정적으로 들리겠지만 어렸을 때부터 미래의 할 일이 정해져 있는 아이들이 있을수록 사회는 안정되고 아이들은 친구와의 교류를 통해 여러 세상을 보고 듣고 느끼는 법이다. 결국 아이들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건 주변 어른들이다. 학교를 다니는 학생이 아르바이트를 하지 않는 한 정해진 영역에서만 활동하게 되므로 좁은 세상만을 경험하고 20살을 맞게 된다. 20살부터는 사람은 크게 잘 변하지 않는다. 그 이전에 학교에서 친구들과 교류하며 사회화를 경험했다면 친구들을 통해 다른 세상을 보아야 하는데 그런 것이 없었다면 세상을 보는 폭도 좁아진다. 

막상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들이나 대학 졸업 예정자들에게 직업의 종류를 써보라고 하면 얼마나 쓸 수 있을까. 학생들의 시야를 넓히는 것이 교육 제도를 계속 뜯어고치는 것보다 더욱 나은 결과를 낳을 텐데 그저 미래의 꿈을 적어서 내라는 형식적인 일만 수십년 째 반복하는 교육 제도가 청년 실업을 만든 한 축이라고 생각한다. 시야를 넓히는 것은 정책적인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 좀더 학생들을 자발적으로 사회에서 여러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728x90